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인 서울역사박물관이 올해로 개관(2002년 5월 21일)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는 6월 27일(월)부터 7월 3일(일)까지 기념 주간을 열고 시민들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서울역사박물관 20주년 기념 주간 행사 일정표
: 20주년 기념 주간 : 2022. 6. 27.(월) ∼ 7.3.(일)
일 자 | 행 사 명 | 시 간 | 장 소 | 대 상 | 비 고 |
6.27.(월) | 기증자 명패 제막식 | 14:00 | 서울역사박물관 | 기증자 초청 | - |
6.28.(화) 6.30.(목) |
사라진 한양의 보물을 찾아라 | 16:00 | 서울역사박물관 | 초등학생 동반가족 | 사전 신청 |
6.28.(화) | 영뮤지엄_한양의 명품을 디자인하다 | 19:00 | 서울역사박물관 | 20~30대 성인 | 사전 신청(네이버폼) |
6.28.(화) | 헝가리의 밤 Hungary Night | 19:00 | 서울역사박물관 | 성인 | 사전 신청(네이버폼) |
6.28.(화) ~ 계속 |
도시모형영상관 실감영상 상영 | 수시 (8분, 30분 간격) |
서울역사박물관 | 일반시민 | 상시 운영 |
경희궁 방공호 특별 관람 | 주중(화~금) 매일 1회 (12:30) 주말(토․일) 매일 2회 (11:00,14:00) |
경희궁 방공호 | 일반시민 | 사전 신청 | |
6.28.(화) ~ 7.3.(일) |
전시 관람 퀴즈 이벤트 | 관람시간 내 | 공평도시유적전시관 딜쿠샤 |
일반시민 | 기념품 증정 (딜쿠샤 : 6.29.~) |
경교장 가상&현실 방문 인증 이벤트 | 관람시간 내 | 경교장 메타버스 경교장 |
일반시민 | 기념품 증정 | |
백인제가옥 야간 개장 인증샷 이벤트 | 18:00~20:00 | 백인제가옥 | 일반시민 | 기념품 증정 | |
백인제가옥 야간 개장 | 18:00~20:00 | 백인제가옥 | 일반시민 | 시설 개방 | |
6.28.(화) ~ 7.12.(화) |
전시 관람 인증샷 SNS 이벤트 | 관람시간 내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생활사박물관 청계천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
일반시민 | 기념품 증정 |
6.29.(수) | 배리어프리영화관 | 14:00 | 서울역사박물관 | 시․청각 장애인 일반시민 |
13:30~선착순입장 |
6.29.(수) | 대동여지도를 맞춰라 | 16:00 | 서울역사박물관 | 5~7세 유아 | 사전 신청 |
6.30.(목) | 상설전시실 전면 개편 재개관 | 09:00 | 서울역사박물관 | 일반시민 | 상시 운영 |
6.30.(목) | 20주년 기념 음악회 | 15:00 | 서울역사박물관 | 일반시민 | - |
7.1.(금) | 박물관 멤버십 회원 데이 | 14:00 | 서울역사박물관 | 유료회원 초청 | 사전 신청 |
7.2.(토) 7.3.(일) |
박물관에서 우리 같이 놀자 | 10:00 | 서울생활사박물관 | 초등학생 동반가족 | 사전 신청 |
7.2.(토) | 법정이야기를 담은 박물관 | 13:00 | 서울생활사박물관 | 초등학생 동반가족 | 당일 현장 접수 |
7.2.(토) | 레트로콘서트 | 14:00(놀이체험) 16:00(공연) |
서울생활사박물관 | 일반시민 | 사전 신청(체험) |
7.2.(토) | <청계천경景유遊장場>작가와의 만남 | 16:00 | 청계천박물관 | 성인 | 사전 신청 |
⁕ 박물관 관람시간 :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사전 신청 : 온라인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l.go.kr) 이용
⁕ 기념품 증정 이벤트 : 수량 한정으로 선착순 진행
⁕ 서울역사박물관 도시모형 영상관 실감 영상, 상설전시실(재개관)은 기념 주간 이후에도 상시 운영
20주년 기념 주간 행사 관련 사진, 이미지 자료

‘서울역사박물관 20년, 시민과 함께 미래로’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서울역사박물관 본관과 산하 8개 분관 곳곳에서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참여하도록 기획되었다.
본관에서는 박물관의 대표 콘텐츠인 상설전시실이 20주년을 맞이해 전면 개편을 위한 임시휴관을 마치고 새롭게 변모된 모습으로 6월 30일에 문을 연다. 10년 만에 이루어진 대대적인 개편이다. 새로운 전시자료와 영상, 시대별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최신 기법의 전시공간으로 새 단장했다.
상설전시 재개관을 통하여 서울시내 공립박물관 최초로 선보이는 인터랙티브(상호작용) ‘실감형 디지털 전시 체험존’이 공개된다. 타임머신을 타고 ‘개화기 종로 거리’로 시간 이동을 하여 전차를 탑승해보고 개화기 신문물을 실감나게 체험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세계를 여행할 수 있다.
박물관의 랜드마크인 도시모형영상관도 실감형 콘텐츠로 탈바꿈하였다. 서울의 과거, 오늘, 내일을 주제로 180도 다면 영상과 서울 축소모형에 3D 프로젝션 맵핑 영상을 연출하여 생동감 넘치는 색다른 볼거리를 경험할 수 있다.
20주년 기념 음악회 출연진 및 프로그램
주요 출연진 현황
연번 | 이름 | 사진 | 주요 프로필 | 프로그램(간략) |
1 | 거문고 명인 정 대 석 |
![]() |
서울대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역임 서울악회, 양주풍류악회 동인 KBS국악관현악단 수석 및 악장 역임 2015 대한민국문화예술상, 2003KBS국악대상 현악상 및 대상 수상 제2회 대한민국작곡상 수상 제15회 동아음악콩쿠르 1위 수상 |
1. 일출 거문고 1부 : 정대석, 김준영 거문고 2부 : 정누리, 원미 2. 정대석제 거문고 산조 거문고 정대석 장구 김정수 3. 고구려의 여운 거문고 1부 : 정대석, 김준영 거문고 2부 : 정누리, 원미 |
2 | 피아니스트 김 정 원 |
![]() |
빈 국립음악대학 프랑스 파리 고등 국립 음악원 최고연주자 과정 뵈젠도르퍼 피아노 콩쿠르 우승 동아 음악 콩쿠르 우승 엘레나 롬브로 슈테파노프 국제피아노 콩쿠르 우승 빈 심포니, 체코 필하모닉, 북독일 방송 심포니(NDR) 등과 협연 |
슈만-리스트 ‘헌정’ 외 다수 소품 |
3 | 소프라노 손 지 혜 |
![]() |
서울대 성악과 수석 졸업 베르디국립음악원 수석 졸업 드레스덴국립음악대학교 대학원 비냐스 국제성악콩쿠르, 빌바오 국제성악콩쿠르, 뮌헨 ARD 콩쿠르 등 다수 입상 2018년부터 독일 도르트문트 극장의 전속 가수로 활동 중 |
이영조------ 문경새재 아리랑 김남조 시, 김순애 곡 ----- 그대 있음에 박두진 시, 이흥렬 곡 ----- 꽃구름 속에 L.Arditi--- Il Bacio G.Donizetti------ Quel guardo il cavaliere.. soanch’io la virtu (기사의 뜨거운 눈길) <오페라 ‘돈 파스콸레’ 중에서> |
* 사정에 따라 연주자 또는 곡목이 변경될 수 있음.
20돌을 축하하는 기념 음악회도 열린다. 박물관의 인기만점 공연 <박물관 토요음악회>의 음악감독인 서혜연 교수(서울대 성악과)가 이번에도 기획과 진행을 맡았다. 출연진도 특별하다. 거문고 명인 정대석,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중견 피아니스트 김정원, 오페라 디바 소프라노 손지혜가 무대에 올라 환상적인 선율을 선사한다.
지난 5월 20일에 개막한 20주년 기념 특별전 <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을 더욱 재미있고 유익하게 즐길 수 있도록 시민 맞춤형 전시 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2030 세대를 위한 <영 뮤지엄_한양의 명품을 디자인하다>, 어린이를 위한 <대동여지도를 맞춰라>, 가족과 함께 참여하는 <사라진 한양의 보물을 찾아라>를 개최한다.
박물관에서만 만날 수 있는 색다른 체험 이벤트도 열린다. 헝가리 교류전 <나의 하루 이야기_헝가리에서 온 사진>과 연계하여 헝가리 와인 시음과 함께하는 헝가리 여행의 시간 <헝가리의 밤 Hungary Night>을 야간 시간(19시)에 개최한다. 주한 리스트 헝가리 문화원장이 여행 가이드로 나선다.
산하 분관들에서도 각 분관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서울 생활사 박물관에서는 모든 세대가 공감하는 추억을 체험하는 <레트로 콘서트>, <박물관에서 우리 같이 놀자>, 청계천 박물관에서는 지역성을 사진 이야기로 이해하는 <청계천 경景유遊장場 전시 참여 작가와의 만남>, 백인제 가옥에서는 근대 한옥의 정취를 야간에 특별하게 경험하는 <백인제 가옥 야간 개장> 등을 선물한다.
본관을 비롯하여 한양도성박물관, 공평 도시유적전시관 등 7개 분관 일대에서 기념품을 받을 수 있는 전시 관람 인증샷, 퀴즈 이벤트들이 풍성하게 열린다.
서울역사박물관 입장료
20주년 기념 주간 행사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사전 신청에 관하여는 박물관 누리집(https://museum.seoul.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물관 관람은 무료이며 관람시간은 평일 및 주말 모두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은 휴관한다.(관람문의: 02-724-0274~6)
박물관은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 열기 속에서 2002년 봄에 개관했다. 도시 서울의 역사를 담은 세계에서 유일한 박물관으로서 서울의 역사문화 조사연구, 서울 유산 수집 및 보존과학 활동, 다양한 전시 개최 등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공고히 해왔으며,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해외 도시박물관 등 국제교류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박물관은 개관 20년 사이에 서울생활사박물관, 청계천 박물관, 한양도성 박물관 등을 비롯해 2021년에 인수된 딜쿠샤까지 현재 12개의 분관을 운영하기에 이르렀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700여 명의 시민 기증자로부터 6만 1천여 건, 20만여 점의 소중한 자료를 기증받았는데, 이는 박물관 소장품의 70%에 해당하는 것으로 명실상부한 ‘시민이 만드는 박물관’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역사박물관 및 산하 분관 시설 현황
본관을 중심박물관으로 장소별․유형별 12개의 분관을 운영․관리
구 분 | 주 요 기 능 | 소재지,면적 | 전경 모습 | |
서울역사박물관 | 한양-경성-서울로 이어지는 수도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교육 |
▪소재지:종로구 새문안로 55 ▪연면적:20,973㎡(지하1층, 지상3층) |
![]() |
|
서울생활사 박물관 |
근현대기의 평범한 서울사람의 일상 생활사 전시 |
▪소재지:노원구 동일로174길 27 ▪연면적:6,919㎡(지하1층~지상5층) |
![]() |
|
청계천박물관 | 청계천복원이전,복원공사,복원이후의 도시변화의 모습 전시 | ▪소재지:성동구 청계천로 530 ▪연면적:5,715㎡(지하2층,지상4층) |
![]() |
|
한양도성연구소 (한양도성박물관) |
도성 전문 연구센터로서 한양도성의 가치를 알리는 전문 박물관 기능 수행 |
▪소재지:종로구 율곡로 283 ▪연면적:1,640㎡(지상4개층, 서울디자인센터 내) |
![]() |
|
동대문역사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건립 공사 중 발굴된 유물을 보존·전시하여 옛 동대문운동장 지역의 역사를 조명하는 현장박물관 | ▪소재지:중구 을지로 281(을지로 7가) ▪연면적:1,260㎡(지하1층,지상1층) |
![]() |
|
동대문운동장 기 념 관 |
경성운동장 건설 이후 서울운동장, 동대문운동장을 거쳐 2007년 철거되기까지 운동장의 역사를 전시 | ▪소재지:중구 을지로 281(을지로 7가) ▪연면적:339㎡(지상1층) |
![]() |
|
공평도시유적 전 시 관 |
조선시대(16~17세기) 도시유적의 원형을 보존한 현장박물관 |
▪소재지:종로구 우정국로 26(공평동5-1) ▪연면적: 3,817㎡(지하1층) |
![]() |
|
돈의문역사관 | 돈의문 일대의 역사와 문화, 마을주민의 삶과 기억을 전시하는 현장박물관 | ▪소재지:종로구 새문안로 35-54 (돈의문박물관 마을 내) ▪연면적:1,388㎡(5개동/지상1~2층) |
![]() |
|
백인제가옥 | 1913년 건립된 북촌의 대표적 근대한옥으로 역사가옥 박물관으로 조성, 근대기 상류층의 거주 생활상 전시(서울시 민속문화재 제22호) | ▪소재지:종로구북촌로7길16(가회동93-1) ▪연면적:545㎡(대지 2,460㎡) |
![]() |
|
경 교 장 | 백범 김구선생의 숙소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로 사용된 우리 현대사의핵심 장소(사적 제465호) |
▪소재지:종로구 새문안로 29 ▪연면적:906㎡(지하1층, 지상2층) |
![]() |
|
딜 쿠 샤 | 3.1독립선언서를 해외로 타전한 연합통신 한국 통신원 앨버트 W. 테일러의 가옥을 원형 복원하여 개관(등록문화재 제687호) | ▪소재지:종로구 행촌동1-88,1-89 ▪연면적:623㎡(지하1층, 지상2층) |
![]() |
|
경 희 궁 | 1617년 건립된 조선후기 이궁으로 일제때 소실되어1987년부터 발굴․복원을 거쳐 2002년 시민 개방(사적 제271호) | ▪소재지:종로구 새문안로 55 ▪연면적:2,188㎡ (※경희궁지:11,101㎡) |
![]() |
|
군기시유적 전 시 실 |
서울시청 신청사 건립 공사 중 발굴된 조선시대 무기 제조청인 군기시 터의 유물을 보존,전시 | ▪소재지: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시청 시민청 ▪연면적:899㎡(지하1층) |
![]() |
댓글